'김선회'에 해당되는 글 3

  1. 2009.02.26 작가 김선회_현실을 가두는 의도, 재현을 꿰뚫는 현실, 그리고 푼크툼의 농담
  2. 2009.02.10 제 2회 기술미학포럼 소식 56
  3. 2009.02.06 참여작가_김선회

작가 김선회_현실을 가두는 의도, 재현을 꿰뚫는 현실, 그리고 푼크툼의 농담

제 2회 기술미학포럼, 작가 김선회


본 문서는 2009년 2월 19일 기술 미학 연구회 주관으로 문지문화원 사이Saii에서 진행되었던 "제 2회 기술미학포럼: 디지털 푼크툼의 순간, 그리고 진정성"에서 김상우씨가 진행한 작가 김선회에 대한 발제 내용입니다.


김선회에 대해서: 현실을 가두는 의도, 재현을 꿰뚫는 현실, 그리고 푼크툼의 농담
의도된 대조는 나에게 아무런 효과를 주지 못한다. 이처럼 나의 흥미를 끄는 세부요소는 의도적이 아니거나 최소한 완전히 의도적은 아니며, 필경 의도적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바르트)
1. 김선회의 작업은 읽기가 좋은 사진이다. 읽기가 좋다는 것은 작가의 기획이 뚜렷하여 달리 ‘해석’할 여지가 없다는 것이다. 그의 사진을 세세히 분별해 보자.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런던의 풍경이다. 공원, 성당, 박물관, 거래소 등등, 대부분 유럽에서 볼만한 건물과 배경이다. 아니 그곳을 가보지 못한 경우라면 그렇다고 상상하는 풍경일 것이다. 어쨌든 중요한 것은 한국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음은 작가의 현존이다. 김선회는 풍경에 자신을 던진다. 그것도 아주 작게, 풍경의 하찮은 일부로서. 만약에 그의 고백을 읽지 않았다면, 솔직히 있는지 없는지 확인조차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 적어도 사진만 봐서는 말이다. 그렇게 풍경의 일부가 된 그는 작아도 너무 작고, 풍경을 채우는 대상은 화면 전체를 채운다. 거기서 그는 언제나 한쪽 구석에 경직된 자세로 차렷 한다. 그만큼 배경은 압도하듯 그를 둘러싸고 밀어내는 것처럼 보인다.

2. 하지만 방아쇠는 아직 당겨진 것이 아니다. 앞서 지적대로 작가의 고백이 결정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순식간에 사진에 의미를 고정시킨다. 이때부터다. 사진을 ‘읽는 방식’이 일변하는 것은. 전체를 찬찬히 훑던 시선은 숨은그림 찾기하듯 작가를 찾아내기 위해서 바빠진다. 관객은 작가가 확실히 그곳에 있었던 것을 증명하는 증인으로 떨어진다. 관객이 보충하고 상상할 여지는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 그의 고백은 그만큼 명확했고, 사진은 충실히 문자에 정박했기 때문이다. “관광객도 아닌 외국인이 낯선 도시에서 산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것은 이방인이 가질 수밖에 없는 흔들리는 정체성 때문이었다.” 사진의 구도는 작가의 진술로 완벽히 번역되는 것이다. 당연히 사진에는 작가의 현존만이 가득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그를 둘러싼 배경은 크기만 컷다 뿐이지, 모조리 허깨비에 불과하다. 사진은 작가의 현존을 축으로 마치 블랙홀처럼 급격히 수축한다. 그리고 멈춰선다.

3. 기획된 사진은 작가의 의도를 통해서 의미가 폐쇄되기 쉽상이다. 약호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푼크툼’이 존재할 여지가 약해진다. 물론 작가가 회화처럼 화면의 모든 것을 통제하진 못하므로, 현실이 은밀히 침투할 공산은 있을 것이다. 푼크툼은 작가가 ‘그곳에 있었기’ 때문에 들러붙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진작가의 투시력은 ‘보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존재하는 데 있다.”(바르트) 그것은 주체의 의지를 넘어서 현실이 ‘우연히’ 새겨둔 자국이다. 하지만 김선회의 경우 기획자체가 작가의 현존인 까닭에 이마저 가로막힐 공산이 크다. 일찍이 블로흐는 범죄소설의 출현이 소설이 퇴행하는 징후로 인식했다. 살아있는 인간들 사이에서 의미를 찾기보다 죽은 시체들 사이에서 추론하게 되기 때문이다. 김선회의 사진도 비슷하다. 생생한 의미를 생성하는 대신에 어딘가 붙잡힌 작가를 수색하는 일로 귀착된다. 당연히 보는 자 누구에게도 ‘보충’할 가능성은 줄어든다.

4.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것이 작가 한명의 특수한 사례가 아니라, 사진과 이미지의 일정한 경향을 보여주는 것 같기 때문이다. 물론 김선회의 사진은 작가의 현존을 기획하는 정도다. 하지만 작가가 사진의 모든 것을 통제하는 경우라면, 사정은 완전히 달라진다. 마치 회화처럼 말이다. 흥미롭게도 디지털은 그것을 가능케 한다. 사진과 회화의 경계는 묵묵히 소멸될 것이고, 사진에서 푼크툼의 억압은 자연스러워 보인다. 하기야 현실자체가 심미화되는 마당에, 그것을 마주봤던 재현들이 변하는 것도 자명한 이치겠다. 루카치가 저주했던 ‘제2의 자연’은 정말로 ‘현실’이 되는 것이다.

5. 어쨌든 ‘그림’에서 푼크툼을 기대하는 것은, 농담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김상우(미학)

제 2회 기술미학포럼 소식

후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술미학포럼의 진행장소가 대안공간 루프에서
->문지문화원 사이saii 3층 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공간의 수용 인원이 대폭 늘어행사 40여명까지 가능하게 되어 좀 더 쾌적한 환경이 될 것 같습니다.
오픈을 앞두고 변경된 점 양해드리며, 변경된 공간의 위치는 하단의 약도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포럼개요

프로그램명 : 디지털 푼크툼의 순간, 그리고 진정성
시     간 : 2009년 2월 19일 (목), 오후 3시
인     원 : 선착순 40명
장     소 : 문지문화원 사이Saii 3층
주     최 : 기술미학연구회


오는 2월 19일(목)에는 기술미학연구회가 주최하는 제 2회 <기술미학포럼>이 열린다. 주제는 "디지털 푼크툼, 순간의 진정성"이며, 참여작가는 강홍구 VS 김선회 VS 이준의이다. 포럼에서는 과거 광학적 사진이 추구하였던 본질적 우연성이 디지털 기술에 의한 환영적 이미지로 전환되고 있는 현재, 3명의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으로 '디지털 푼크툼'의 순간과 그 진정성에 대해 논의한다.
(문의: neomimesis@naver.com)

기술미학연구회는 한국 미디어아트에 대한 문제제기, 담론의 재구성과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연구집단이다. 지난해 11월에는 가상성을 주제로 제1회 기술미학 포럼을 개최하였다.                                             


▶ 지난포럼보러가기





■  기획의도


과거, 광학적 기술에 근거한 사진이 추구한 대상은 그것이 우연적 순간이던, 연출된 상황이던 물리적 영역에 바탕을 둔 현실이었다. 따라서 사진의 영역은 현실이라는 인덱스에 근거하여 형성되었고, 장르를 넘나드는 다양한 시도들을 시행함에 있어서도 그 출발점은 역시나 현실이었음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이러한 사진의 본질 및 영역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전의 광학적 사진이 추구하였던 본질적 우연성은 디지털 기술에 의한 편집된 순간, 즉 환영적 이미지로 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하나의 의문이 떠오른다. 사진은 진정 변화하였는가? 과거 바르트가 언급한 주체를 꿰뚫는 ‘푼크툼’(punctum)의 순간은 디지털 이미지의 환영적 본성에 의해 거짓된 상처로서 우리를 속이고 있는가. 만약, 주지하듯 우리를 둘러싼 실체 자체가 디지털 인자로 점철된 현실이 되어버렸다면, 변화한 것은 사진이 아닌 우리의 현실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이제는 디지털 푼크툼의 순간, 그리고 그 진정성에 대해 생각해보아야 할 시기가 아닐까.




포럼 진행순서


03:00~03:10 2회 포럼소개, 디지털 푼크툼, 순간의 진정성 : 진중권
03:10~03:20 작가 프레젠테이션 : 강홍구
03:20~03:30 작가 프레젠테이션 : 김선회
03:30~03:40 작가 프레젠테이션 : 이준의
03:40~03:55 작품에서 찾은 디지털 푼크툼의 순간들 (발제: 유원준, 김상우, 허대찬)
04:00~04:10 휴식
04:10~06:00 집단 토론 (사회 : 진중권) 




 행사 참고 자료 - 작가정보





참가 신청

사전예약 : 40명 (참가비 : 1만원 / 계좌번호 : 166 - 910248 - 39807 하나은행 )

참가신청을 원하시는 분들은 이 글에 댓글 을 달아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기입하신 메일주소를 통해 포럼자료주요 공지를 발송하겠습니다.


신청양식:
이름
이메일
연락처

(오른쪽 비밀글 설정을 체크해 주세요)



참여작가_김선회

London Eye, 100 x 130cm, 2007, Archival pigment print


김선회 Kim, Sun-hoe 


현.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사진 디자인), 용인대학교(시각디자인) 출강


2008 MA in Photography & Urban Culture, Department of Sociology,  
       Goldsmiths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졸업 (London, U.K.)
2001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사진디자인전공 졸업(서울)
1997 대구예술대학교 사진영상학과 졸업 (경북 칠곡군)
1995 신구 전문대 사진과 졸업(경기도 성남시)


개인전

2001 ‘Trace & Transformation’, 갤러리 룩스(서울)
2001 단봉예술제 사진부문 초대전(화성)


단체전

2008 ‘4482(Exhibition of emerging Korean artists in London)’, Barge House (London)
2007 ‘Mise-en-scene’, Candid Arts Trust (London)
2005 광복 60년 기념 사진전, 광화문 갤러리(서울)
2003 ‘풍경이다’展, 조흥은행 갤러리(서울)
2003 Photographers Asia 2003 -Heart to Ecology (일본 나고야), 주한일본문화원(서울)
2001 19 photographers with calm land(일본 후쿠오카)
2000 풍경과 장소-유토피아&아토피아, 경기문화예술회관(수원), 과천시민회관(과천), 평택남부문예회관(평택)
       고요한 나라 2000, 대안공간 풀(서울), 051갤러리(부산)
1999 고요한 나라2, 신세계 갤러리(광주)
       고요한 나라2, 사이 갤러리(서울), 아트힐 갤러리(부산), 
        Postphoto, 나 갤러리(서울), 올리브 갤러리(서울)
1996 젊은 바람전, 대구문화예술회관(대구)



작품 이미지

0123